고혈압과 당뇨병, 이 두 질환은 공통점이 많다.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꼽히는 것은 물론, 뚜렷한 증상 없이 다른 신체기관까지 위협하며 합병증을 일으키는 무서운 질환이다.
‘조용한 살인자’라고 불리는 것처럼 별다른 통증이나 증상이 없어 방치하기 쉽지만 일단 합병증이 발생하면 손쓰기 어려울 정도의 전신 질병으로까지 발전하게 된다. 그런데 만일 이 두 무서운 질환이 한꺼번에 찾아온다면 위험성은 얼마나 더 커지는 것일까.
고혈압과 당뇨의 상관관계와 이것이 우리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다.고혈압과 당뇨가 함께 찾아오면 혈관건강이 급속도로 저하돼 합병증위험이 더욱 커진다. 특히 두 질환은 특별한 통증이나 증상이 없어 정기검진을 통해 혈압과 당수치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뇨병환자…고혈압 발생률 2배↑, 고혈압환자…당뇨병 발생률 2.5배↑
전문가들에 따르면 당뇨병 환자에서 나타나는 고혈압의 빈도는 당뇨병이 없는 사람에 비해 약 2배나 높다. 제1형 당뇨병(췌장에서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아 발생하는 당뇨병. 주로 소아에서 발생) 환자의 경우 당뇨병이 발병됐을 때 혈압은 보통 정상으로 나타나며 발병 초기 고혈압 빈도는 정상인 사람과 거의 유사하다.
하지만 이 상태가 5~10년간 유지되다 당뇨병성 신증(고혈당에 의해 신장세포와 혈관이 손상돼 나타나는 질환)이 나타나면 빈도가 증가하기 시작한다.
제2형 당뇨병(인슐린 분비기능은 일부 남아있지만 성인이 돼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상대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해 발생) 환자의 경우는 조금 다르다. 이들은 당뇨병으로 진단받을 때 이미 고혈압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서 고혈압은 일반적으로 신기능 장애보다 먼저 나타나며 만일 신증이 동반되면 고혈압 빈도는 더욱 증가한다. 보통 당뇨병 환자 중 20~30%가 고혈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일반인과 비교해 2배 이상 많은 수치다.
고혈압 환자도 정상인에 비해 당뇨병이 발생할 확률이 2.5배 높다. 고혈압의 합병증은 높은 혈압으로 인해 혈관이 손상되고 그 혈관을 흐르는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는 인체의 장기에 이상이 오는 것을 말한다. 주로 심장과 뇌, 신장, 눈 등에 문제가 생긴다. 특히 고혈압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비만과 운동 부족인데 이러한 습관은 혈당을 상승시켜 당뇨병까지 일으키게 된다.
당뇨병 역시 혈액 속의 포도당이 많아지면서 혈관에 염증이 생기는 등 혈관건강을 병들게 한다. 즉고혈압과 당뇨병 합병증의 공통점은 모두 혈관이 풍부한 조직들에 생기는 병증이며 대표적인 것이 눈, 콩팥, 신경 그리고 신장혈관, 뇌혈관, 다리혈관과 같은 말초혈관이다.
▲고혈압·당뇨 한꺼번에 찾아오면…혈관건강 급속도로 저하돼
이처럼 고혈압과 당뇨는 혈관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에 두 질환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면 혈관건강이 급속도로 저하된다. 심장 주변의 큰 혈관부터 시작해 발과 손, 눈 등의 미세혈관까지 파괴하며 각종 합병증을 불러오게 된다.
신장이 망가지고 발을 자르거나 실명하게 될 수도 있으며 심근경색 등의 혈관질환으로 갑자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특히 합병증을 예방해야 할 당뇨병 환자에게 고혈압이 있다면 각종 혈관 합병증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반드시 혈압을 정상수준으로 조절해야 한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수축기 혈압을 10mmHg만 낮춰도 당뇨병 전체 합병증이 12% 감소하고, 심근경색의 발병이11% 감소하며 미세혈관 합병증은 13%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환자도 고혈압 환자와 마찬가지로 수축기 혈압이 120mmHg, 이완기 혈압이 80mmHg 미만을 목표로 치료해야 하며 그 이상이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정기검진 통해 혈압 및 당수치 관리해야…운동·식습관개선 필수
제44회 유럽 당뇨병학회(EASD)에서 당뇨병의 가장 큰 위협인 합병증의 종류와 치료법에 대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당뇨는 합병증에 따라 치료법도 다른데 망막병증, 족부궤양 등 미세혈관에 이상이 생기는 합병증의 경우 혈당수치만 잘 조절하면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뇌졸중이나 심장질환 등 보다 치명적인 혈관 합병증의 경우에는 혈당조절만으로는 예방과 치료에 한계가 있다. 당뇨병 환자가 고혈압, 고콜레스테롤, 비만, 혈소판 기능장애 등 혈관장애를 일으키는 다른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앞에서 말했던 것처럼 당뇨병환자가 고혈압일 가능성은 당뇨병이 아닌 경우에 비해 최고 2배 정도 높기 때문에 당뇨병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당조절 외에도 혈압과 콜레스테롤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적정 혈당은 식전 dL당 120~140mg 이하, 식후 dL당 180~200mg이하다. 혈압은 120/80mmHg미만, 콜레스테롤은 dL당 200mg이하여야 한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김지연 과장은 “고혈압과 당뇨병은 대부분 증상이 없으므로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자신의 수치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더불어 규칙적인 운동과 올바른 식이요법, 적정 체중 유지, 금주와 금연 등의 건강한 생활습관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내가 살아가는 이야기 >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힌 혈관을 뚫어주는 연자육!! (0) | 2016.11.26 |
---|---|
손발이 차가울때 해결책!!! (0) | 2016.11.23 |
동의보감의 저자 '허준'의 17가지 건강의 지혜 (0) | 2016.11.20 |
1분만에 막힌 코 뚫는 팁!! (0) | 2016.11.19 |
아침에 눈뜨자 마자 해선 안 될 7가지 행동 (0) | 2016.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