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기준안 보다 낮춰야…과도한 충치 치료비 절감에 도움
충치 치료에 들어가는 과도한 비용을 고려할 때 하루 설탕 섭취량을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 기준보다도 더 줄여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6일(현지시간) 영국 BBC방송에 따르면 런던대(UCL)와 위생열대의과대학원(LSHTM) 연구진은 당의 하루 섭취량을 전체 섭취 열량의 3% 이하로 줄여야 한다는 내용의 논문을 온라인 과학저널 'BMC 공중보건'(BMC Public Health)에 발표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안보다도 더 낮은 수치다.
앞서 WHO는 천연 당을 제외한 첨가 당의 하루 섭취량을 전체 섭취 열량의 10%에서 5%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는 새 권고안을 지난 3월 내놓은 바 있다.
전체 섭취 열량의 5%라는 수치는 성인 여성 기준으로 5~6티스푼(약 25g)에 해당하는 양이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전체 섭취 열량에서 설탕이 차지하는 비중이 0%에서 5%로 늘어날 경우 충치가 생길 가능성도 배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또 설탕이 충치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만큼 설탕 섭취를 줄임으로써 충치를 사전에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특히 선진국에서 치아 치료에 들어가는 비용이 전체 의료비 지출의 5~10%를 차지하는 현실 등을 고려할 때 당 섭취량을 지금보다 크게 줄일 필요가 있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논문의 공동저자이자 LSHTM의 영양학 전문가인 필립 제임스 교수는 "강력한 조치들이 필요하다"며 "학교, 병원 등 정부 관리가 이뤄지는 곳에서는 과자나 탄산음료 자판기를 없애야 한다"고 말했다.
BBC는 그러나 설탕 소비를 줄이려는 이런 움직임에도 일반인들의 하루 당 섭취량은 WHO의 이전 권고안(전체 섭취량의 10%) 기준조차 못 맞추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충치 치료에 들어가는 과도한 비용을 고려할 때 하루 설탕 섭취량을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 기준보다도 더 줄여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6일(현지시간) 영국 BBC방송에 따르면 런던대(UCL)와 위생열대의과대학원(LSHTM) 연구진은 당의 하루 섭취량을 전체 섭취 열량의 3% 이하로 줄여야 한다는 내용의 논문을 온라인 과학저널 'BMC 공중보건'(BMC Public Health)에 발표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안보다도 더 낮은 수치다.
앞서 WHO는 천연 당을 제외한 첨가 당의 하루 섭취량을 전체 섭취 열량의 10%에서 5%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는 새 권고안을 지난 3월 내놓은 바 있다.
전체 섭취 열량의 5%라는 수치는 성인 여성 기준으로 5~6티스푼(약 25g)에 해당하는 양이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전체 섭취 열량에서 설탕이 차지하는 비중이 0%에서 5%로 늘어날 경우 충치가 생길 가능성도 배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또 설탕이 충치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만큼 설탕 섭취를 줄임으로써 충치를 사전에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특히 선진국에서 치아 치료에 들어가는 비용이 전체 의료비 지출의 5~10%를 차지하는 현실 등을 고려할 때 당 섭취량을 지금보다 크게 줄일 필요가 있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논문의 공동저자이자 LSHTM의 영양학 전문가인 필립 제임스 교수는 "강력한 조치들이 필요하다"며 "학교, 병원 등 정부 관리가 이뤄지는 곳에서는 과자나 탄산음료 자판기를 없애야 한다"고 말했다.
BBC는 그러나 설탕 소비를 줄이려는 이런 움직임에도 일반인들의 하루 당 섭취량은 WHO의 이전 권고안(전체 섭취량의 10%) 기준조차 못 맞추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내가 살아가는 이야기 >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세 삐딱하면 관절 삐끗.. 이렇게 고쳐주세요 (0) | 2014.09.18 |
---|---|
회사에서의 짧은 낮잠, 제대로 자는 법은? (0) | 2014.09.18 |
우리가 믿어온 살빼기 상식은 다 엉터리? (0) | 2014.09.16 |
허리 아프면 찜질부터? 잘못된 건강 속설 5 가지.. (0) | 2014.09.14 |
당뇨병 약 먹을 때..반드시 알면서 복용해야 할 것들~~ (0) | 2014.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