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은 시력 혼탁도 동반될 수 있으나 초기에는 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당뇨병이 장기화되면 미세혈관 합병증에 의해 시력, 신장기능, 심혈관계 등에 이상이 생겨 실명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치료를 서둘러야 한다.
당뇨병약을 먹을 때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다른 약을 같이 복용하는 경우에는 약끼리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의사나 약사에게 현재 복용 중인 당뇨병약에 대해 미리 알리고 도움을 받아야 한다.
감기약 등 당이 들어 있는 액제나 경구용 피임제, 이뇨제, 갑상선호르몬제, 부신피질호르몬제(스테로이드제제) 등은 혈당 상승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반면에 술(알코올)을 마시거나 아스피린, 항생제(테트라사이클 린), 혈압약 등은 혈당을 낮추어 저혈당을 유발할 수 있다.
당뇨병약을 복용하면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저혈당 관리다. 약 복용시간, 식사시간을 잘 지키고 혈당 검사에 따라 약의 용량을 잘 조절해야 한다. 긴급 상황에 대비해 항상 사탕, 비스켓 등을 휴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혈당은 혈당이 에너지 대사에 필요한 양(일반적으로 혈당이 70mg/dL) 이하로 떨어져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하지만 개인차가 커 단순히 혈당 수치만으로만 진단하지 않고 증세, 저혈당의 측정, 증상의 소실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저혈당은 인슐린이나 당뇨병약의 양이 너무 많고 음식을 거르는 경우, 심한 운동, 과음 때 잘 생긴다. 증상은 땀이 나거나 손이 떨리고 맥박이 빨라져 현기증, 두근거림 등이 나타난다. 심하면 경련, 발작, 혼수 상태에 빠질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당뇨병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환으로, 치료약의 종류가 다양하고 개인 별로 유효성과 부작용 차이가 날 수 있다"며 "의사나 약사와 상담 후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내가 살아가는 이야기 >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믿어온 살빼기 상식은 다 엉터리? (0) | 2014.09.16 |
---|---|
허리 아프면 찜질부터? 잘못된 건강 속설 5 가지.. (0) | 2014.09.14 |
"매일 '30분'만 산책하면 사망위험 23%↓" (0) | 2014.09.12 |
아이에게 좋은 물을 충분히 먹여야 하는 이유..! (0) | 2014.09.11 |
성묘길에 '벌 쏘임' 주의..9월에 환자 가장 많아" (0) | 2014.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