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가 본격화하면서 국내 주력산업인 자동차·부품업계가 휘청이고 있다. 정부는 2월부터 추가경정예산과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수출활력제고방안 등 자동차·부품산업의 충격을 줄이기 위해 30조원을 투입했지만, 현장에선 역부족이라는 입장이다. 이번 주 제5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나올 기간산업 대책에 이 같은 요구가 반영될지 주목된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9% 감소한 79억9000만달러에 그쳤다. 특히 자동차 부품 수출이 49.8% 감소하며 사실상 반토막이 났다.
완성차 수출 상황도 다르지 않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집계한 현황을 보면 이달 1~17일 국내 완성차 수출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45.7% 줄었다. 국내 완성차 판매의 63.1%를 차지하는 유럽·북미시장의 판매딜러 휴업이 늘면서 이달부터 수출 지표가 더욱 악화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상황이 악화하자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서울 서초구에서 국내 완성차 및 부품업체 대표들과 간담회를 열었다. 지난달 23일 유럽발(發) 자동차부품 수급에 차질이 생기면서 부품업체와 간담회를 연 이후 한 달 만이다.
성 장관은 "세계 글로벌 완성차 생산공장 중 약 77%가 가동을 중지하고 있고, 언제 생산을 재개할 수 있을지도 불확실한 상황"이라며 "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된다면 우리 자동차 산업은 65년 역사 속에서 가장 어려운 시기를 맞게 될 수도 있다"고 했다.
정부가 지금까지 자동차 산업의 '코로나19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투입한 금액은 약 30조원에 달한다. 중소·중견 부품업체들의 유동성 지원을 위해 21조2000억원 규모의 중소·중견기업 초과 한도 대출을 지원하고 있고, 채권담보부증권(P-CBO)도 8조4000억원 규모로 확대 지원하고 있다.
P-CBO는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의 회사채를 신용보증기금이 보증해 신용등급을 높여준 뒤 이를 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차부품업체의 수출채권 현금화 한도를 최대 2배로 우대해 중소·중견기업의 유동성 위기를 직접 지원하는 조기현금화 정책도 기존 5000억원에서 7000억원 규모로 확대했다. 또 내수 진작을 위해 하반기에 구매할 예정인 업무용 차량 1600여대를 상반기에 앞당겨 구매하는 데 500억원을 미리 집행했다.
산업부는 원·하청이 연결돼있어 연쇄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는 자동차 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해 추가 지원책을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22일 대통령 주재 제5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자동차 산업을 포함한 항공·정유·해운업 등 기간산업을 긴급 지원하는 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성 장관은 자동차 업계가 33조원의 추가 유동성 지원을 요청한 데 대해 "필요시 관계부처와 함께 지원대책 마련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내가 살아가는 이야기 > 자동차및당사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차 재고 쌓여.. 주차공간 꽉쌓였다. (0) | 2020.06.22 |
---|---|
정부 "기간산업 협력업체에 7월(내달)부터 5조원 대출"계획 (0) | 2020.06.21 |
BMW 중고차를 추천하지 않는 이유 15가지 (0) | 2020.06.09 |
다시 고개 드는 자동차 구매 보조금.~^^ (0) | 2020.04.28 |
월급쟁이 3명 중 1명 월 200만원 못 번다..저임금 구조 여전 (0) | 2020.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