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국민연금 '중복급여 조정규정'에 따라 자신의 노령연금보다 배우자가 남긴 유족연금이 훨씬 많아서 유족연금을 선택하더라도 자신의 노령연금 일부를 함께 받을 수 있게 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국민연금공단은 국민연금 수급자의 요구를 반영해 이런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현재 부부가 함께 국민연금에 가입해서 10년(120개월) 이상 보험료를 내면 노후 수급연령에 도달해 두 사람 모두 각자의 노령연금을 숨질 때까지 받는다.
문제는 한 사람이 먼저 숨질 경우다.
그러면 남은 배우자는 자신의 노령연금과 배우자의 유족연금 중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한 가지를 골라야 한다. 노령연금과 유족연금 수급권이 동시에 발생할 때 한쪽만 선택하도록 한 '중복급여 조정규정'에 따라서 현재는 자신의 노령연금을 고를 때만 유족연금의 일부를 추가로 받을 수 있을 뿐이다.
이런 유족연금 중복지급률은 2016년 12월 이전까지는 20%였다가 이후부터 현재까지 30%로 올랐다. 정부는 앞으로 이런 중복지급률을 공무원연금 등 다른 직역연금(50%)과 형평성을 고려해 40%로 상향 조정할 계획이다.
이와 달리, 자신이 받는 노령연금보다 유족연금이 많아서 유족연금을 고르면 자신의 노령연금은 못 받는다. 유족연금만 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 그간 수급자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다.
국민연금공단은 이런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결하고자 노령연금과 유족연금 수급권이 동시 발생해 유족연금을 선택할 경우 노령연금의 일부를 더해서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노동조합 관련 > 생활&노동법률·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족연금 받으며 사실혼..法 "사실혼 기간 수령액 환수해야" (0) | 2019.02.24 |
---|---|
사고 낸 후 "괜찮다"는 말에 현장 떠난 차량..대법 "뺑소니 아냐" (0) | 2019.02.15 |
1가구 1주택 양도세 비과세..1주택자 된 날부터 2년 보유해야 (0) | 2019.01.15 |
홍남기 "주52시간 계도기간, 탄력근로확대 입법 때까지 연장" (0) | 2018.12.26 |
혼인기간 1년 넘으면 이혼 즉시 배우자 국민연금 나눠갖는다. (0) | 2018.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