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등산 인구은 얼마나 될까? 산림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연 1회 이상 등산 인구는 3200만 명에 달한다. 특히 요즘처럼 날씨가 풀리고, 새순이 돌아나는 봄에는 등산 인구가 늘어난다. 그런데 당뇨를 앓고 있거나 고혈압, 관절염 같은 만성 질환을 앓는 이들은 등산할 때도 주의할 사항이 많다. 건강을 위해 시작한 등산이라도 자칫 잘못하면 독이 될 수 있다.
◇고혈압이나 심장질환자
혈압이 좋지 않거나, 고지혈증 같은 질환이 있다면, 다른 사람과 경쟁하면서 산에 오르는 건 금물이다. 가파른 산행을 하는 것도 좋지 않다. 고혈압 환자들은 등산을 하면 혈압이 많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고 혈압이 240㎜HG를 넘으면 뇌출혈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산을 오르기 전 휴대용 혈압기와 맥박기를 준비하고 산을 오르면서 수시로 측정을 하도록 하자. 그리고 등산 시에는 평소 맥박보다 20% 늘어난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수치가 과도하게 넘어갔다면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산행 중 흉통을 느꼈다면 심장 혈관에 이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가까운 시일 내에 전문의의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당뇨병
당뇨병 환자는 등산 전에 혈당 체크를 꼭 해야 한다. 식전 혈당 수치가 300㎎/㎗가 넘으면 등산을 삼가야 한다. 혈당이 높은데도 무작정 등산을 하면 오히려 혈당의 대사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혈당 강하제를 복용하거나 인슐린을 주입한 후 바로 산행을 하면 저혈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1시간 후에 산에 올라가는 게 좋다. 만일 산을 오를 때 현기증이 나고 호흡이 가빠지며 전신에 땀이 나면 누워서 안정을 취하고 사탕이나 캐러멜 등 당분이 많이 들어 있는 간식을 섭취해서 혈당을 안정화 시켜야 한다.
◇관절염
관절염 환자들은 등산을 기피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무릎이 아프다고 운동을 안 하는 것은 옳지 않다. 움직이지 않으면 오히려 관절 주변의 인대와 근육들이 굳기 때문에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관절염이 있을 땐 완만한 산길을 걷는 것이 좋다. 계단을 내려가는 건 무릎에 충격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계단이 아닌 길을 선택하는 게 좋다. 한번 걸을 때 30분 이상 걷고 거리는 3㎞가 적당하다. 무릎 관절의 부담을 팔로 분산시킬 수 있으니 스틱 사용은 필수다.
◇호흡기질환자
만성 기관지염, 천식, 폐렴 등 호흡기질환자는 폐활량이 일반인의 70%에도 미치지 못하므로 오르기 쉬운 낮은 산을 택한다. 산에 오를 때는 자주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천식 환자는 산행 중 발작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미리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하자. 공기 오염이 심하거나 황사 및 꽃가루 등이 많이 날리는 날에는 산행을 삼가야 한다.
◇골다공증
경증의 골다공증 환자는 완만한 코스의 등산이 좋다. 운동으로 근육이 수축하면서 골격에 압력이 가해지면 뼈를 만드는 세포의 기능이 촉진돼 골밀도를 높이기 때문이다. 폐경기 여성 등 골다공증 고위험군인 사람들은 짧고 쉬운 등산 코스를 택한다.
'내가 살아가는 이야기 >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 먼지 심한 날, 끈적한 화장품 바르지 마세요 (0) | 2018.03.28 |
---|---|
"쉬어도 풀리지 않는 만성 피로… 腦(뇌)는 쉬지 못했기 때문" (0) | 2018.03.24 |
"안색이 창백하면 대장암?"..대장암 오해와 진실 (0) | 2018.03.17 |
담배 한갑에서 절반만 줄여도 폐암 위험 45% 낮춰 (0) | 2018.03.15 |
웃기만 해도 면역 물질 200배 증가… 웃으면 건강이 와요 (0) | 2018.03.10 |